[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인도 와서 한 달 동안 화폐를 쓸 일이 없었어요. 대형마트는 물론 전통시장과 노점상에서도 QR코드로 결제가 가능했습니다." 권오승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뉴델리 부관장은 "인도는 디지털 인디아 정책을 통해 서민들의 금융 접근성이 대폭 확대되면서, 오히려 한국보다 디지털 결제가 더 활성화돼 있다" 이같이 말했다. 10여년 전만 해도 은행 계좌 보유율이 35%에 불과했던 인도가 이제는 핀테크 강국으로 도약하고 있다. 인베스트인디아에 따르면 인도 핀테크 시장규모는 2023년 약 1380억달러로, 2019년 이후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정부 주도 '디지털 대전환'...핀테크 산업 급성장━이 같은 변화의 중심에는 모디 정부의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 정책이 있다. '잔 단 요자나(Jan Dhan Yojana)'로 불리는
구르가온(인도)=남미래기자 2025.06.12 06: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인도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는 아닙니다. 하지만 그 모든 단점을 상쇄할 만큼의 성장 잠재력과 가능성이 있는, 꼭 진출해야 하는 나라입니다." 이재경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뉴델리 소장은 최근 머니투데이 유니콘팩토리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인도는 연평균 6~7%의 경제성장률과 중위연령 28세의 젊은 인구구조를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거대 시장이다. 인구 14억5000만명의 인도에서 사용자를 확보하고 스케일업을 노리는 한국 스타트업도 늘고 있다. 하지만 진입장벽은 결코 낮지 않다. 동남아나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거리도 멀고 문화적 차이가 커 기업 입장에서는 까다로운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자본력과 네트워크가 제한적인 스타트업에는 '맨땅에 헤딩'과도 같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과 민간 액셀러레이터가 한국 스타트업의 안정적인 현지 안착을 적극 돕고
구르가온(인도)=남미래기자 2025.06.10 06:00:00[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연평균 6~7%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세계 기업들의 '기회의 땅'으로 부상한 인도.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올해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 올라설 전망이다. 오는 2027년 국내총생산(GDP) 5조달러를 달성하고 2028년 독일까지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벤처생태계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랙슨(Tracxn) 등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인도의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기업)은 119개다. 미국(유니콘기업 1039개), 중국(246개)에 이은 세계 3위다. ━정부와 현지 VC가 발굴…해외 VC가 스케일업 ━또한 지난해 인도 벤처캐피탈(VC) 투자금액은 전년보다 42.7% 증가한 137억달러(약 18조810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투자건수도 880건에서 1270건으로
구르가온(인도)=남미래기자 2025.06.10 05: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