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신약개발 패러다임 바꿔놔…韓 강점 살린 집중적인 투자가 열쇠"
신약 개발엔 평균 10~15년이란 긴 시간이 소요된다. 타깃 발굴부터 전임상과 임상, 허가, 그리고 의약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검증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AI(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신약개발의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뀌기 시작했다. 이에 정부도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을 도약시킬 게임 체인저로 'AI'를 지목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해 1월 AI 신약개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기존의 AI신약개발지원센터를 확대해 AI신약융합연구원을 설립했다. 머니투데이는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서 표준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을 만나 AI 신약개발의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들어봤다. 표 부원장은 "AI 신약개발 영역에서 한국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경험이 덜 축적됐을 뿐이지 기술력이 떨어지거나 파이프라인(신약후보물질)이 부족한 건 아니다"라며 "좋은 의료 데이터와 대규모 의약품 생산 거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강점을 기반으로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집
김선아기자
2025.09.16 17:07:17